NEW & MEDIA

변호사칼럼

따뜻한 변호사들의 다양한 소식들을 확인하세요

부동산

상속에 따라 임차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자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
profile_image김미진변호사|21-03-31

본문


1. 들어가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2항은 임차건물의 양수인에 해당하면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보면서, 임차인이 양수인에 대하여도 대항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상속에 따라 임차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임차건물의 양수인에 해당하는지에 관하여 입장을 밝힌 대법원 2021. 1. 28. 선고 201559801 판결의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대법원 2021. 1. 28. 선고 201559801 판결

 

. 사실관계

 

1) 원고는 1999. 8. 9. ○○○○ 주식회사(이하 ○○○○ 회사라 한다)○○○○ 회사 소유의 원심판결 별지 목록 기재 건물(이하 이 사건 건물이라 한다) 1층 중 121.97(이하 이 사건 임차건물이라 한다)에 관하여 보증금 50,000,000(월 차임 없음), 임대차기간 24개월(, 계약기간 만료 시 자동연장하기로 하였다)로 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다.

 

2) 원고는 1999. 8. 15.경부터 이 사건 임차건물에서 ○○마트라는 상호로 소매업을 영위하여 왔고, 그 무렵 사업자등록도 마쳤다.

 

3) ○○○○ 회사 대표이사의 부친인 소외 11997. 11. 21.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1997. 11. 17.자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등기를 마쳐두었다가 2000. 10. 23. 사망하였고, 소외 1의 처인 소외 22006. 2. 10. 이 사건 건물에 관하여 위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로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4) 원고는 2006. 12. 10. 소외 2와 이 사건 임차건물에 관한 임대차계약(이하 이 사건 임대차계약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는데, 그 내용은 1999. 8. 9.자 임대차계약과 동일하다.

 

5) 원고는 2008. 12. 15.경 이 사건 임차건물에 관하여 임차권등기명령을 받아 2008. 12. 17. 임차권등기를 마쳤다.

 

6) 소외 22009. 2. 14. 사망하였고, 소외 2의 사망 후 2010. 3. 31. 이 사건 건물 중 각 1/4 지분에 관하여 피고들과 제1심 공동피고 소외 3, 소외 4 앞으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7) 이 사건 건물에 대한 1순위 근저당권의 실행으로 임의경매 절차가 진행되어 2011. 1. 13. 유한회사 △△가 이 사건 건물을 취득하였다.

 

. 대법원의 판단

 

1) 이 사건 임대차계약에서 정한 임차보증금은 당시 시행 중이던 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2002. 10. 14. 대통령령 제17757호로 제정되어 2002. 11. 1. 시행된 것) 2조 제1항 제4호에 따른 기준 임차보증금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원고는 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2001. 12. 29. 법률 제6542호로 제정되어 2002. 11. 1. 시행된 것, 이하 구 상가임대차법이라 한다) 3조 제1, 부칙 제2항 단서에 따라 사업자등록 신청일 다음 날부터 대항력을 취득하였다.

 

2) 피고들은 소외 3, 소외 4와 함께 2009. 2. 14. 상속으로 이 사건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자로서 이 사건 임대차계약상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승계한다.

 

3) 원고는 2008. 12. 15.경 임차보증금을 받지 못한 채 임차권등기명령을 받아 2008. 12. 17. 임차권등기를 마쳤는데, 임대차가 종료한 경우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돌려받을 때까지는 임대차 관계는 존속하므로(구 상가임대차법 제9조 제2),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기간 종료 여부는 피고들 및 소외3, 소외 4의 공동임대인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사건 건물의 공동임대인

인 피고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소외 3, 소외 4와 공동하여 원고에게 임차보증금 50,000,0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4) 그럼에도 원심은, 이 사건 건물이 선순위근저당권자의 신청에 따라 실시된 경매에 의하여 매각됨으로써 이 사건 임차건물에 관한 원고의 임차권은 소멸하였으므로, 소외 2의 상속인들인 피고들과 소외 3, 소외 4는 원고에게 이 사건 임차건물에 관한 임차보증금 반환채무를 각자의 상속지분에 따라 분할하여 부담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는 상가임대차법상 임대인의 지위를 공동으로 승계한 상속인들의 임차보증금 반환채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원고의 이 부분 상고이유는 이유 있다.

   



 

3. 마치며

 

임대차에 관한 법리 중 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하 상가임대차법이라 한다) 3조는 대항력 등이라는 표제로 제1항에서 대항력의 요건을 정하고, 2항에서 임차건물의 양수인(그 밖에 임대할 권리를 승계한 자를 포함한다)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본다.”라고 정하고 있다. 이 조항은 임차인이 취득하는 대항력의 내용을 정한 것으로, 상가건물의 임차인이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취득한 다음 임차건물의 양도 등으로 소유자가 변동된 경우에는 양수인 등 새로운 소유자(이하 양수인이라 한다)가 임대인의 지위를 당연히 승계한다는 의미이다. 소유권 변동의 원인이 매매 등 법률행위든 상속경매 등 법률의 규정이든 상관없이 이 규정이 적용되므로, 상속에 따라 임차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자도 위 조항에서 말하는 임차건물의 양수인에 해당한다(대법원 1993. 11. 23. 선고 934083 판결, 대법원 2017. 3. 22. 선고 2016218874 판결 참조) 라는 법리와, 임대인 지위를 공동으로 승계한 공동임대인들의 임차보증금 반환채무는 성질상 불가분채무에 해당한다(대법원 1967. 4. 25. 선고 67328 판결, 대법원 2017. 5. 30. 선고 2017205073 판결 등 참조) 라는 법리는 정말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법리라고 할 것입니다.

 

이러한 법리에 기초하여 대법원은 원심의 판결을 파기한 것인데요, 원심은 상속지분에 따라 분할채무로 판단한 것을 대법원은 불가분채무에 해당한다고 한 것입니다. 계속적으로 적용된 법리인데도 고등법원에서 그 적용을 잘못하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법리의 해석은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법률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기를 권해드리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목록보기

전담변호사 1:1 케어시스템

따뜻한 변호사들은 고객의 소중함과 신뢰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있는 법무법인으로
각 분야의 건담 변호사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Quick Counsel

개인정보 수집동의 | 각종 서비스 및 이벤트 공지, 상담을 위한 개인정보수집 동의

상호 : 법무법인 따뜻한변호사들  |  대표변호사 : 김미진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백로 212, 202호(장항동 891, 일산법조빌딩)
대표전화 : 031) 904-7890  |  팩스 : 031-908-0709  |  사업자등록번호 : 128-87-00143

Copyright ⓒ 2017 kindlawyers.com All rights reserved.